'Bike/부품&정비'에 해당되는 글 63건
- 2015.01.18 슬슬 라이딩 준비해야겠죠?
- 2013.07.16 XX1에 대한 자료입니다.
- 2012.12.07 [본문스크랩] NICOLAI ION 제작 동영상
- 2012.11.23 leatt 상체보호대 관심품목
- 2012.10.28 구스타프M 브레이크 패드구입시 유의사항
- 2012.10.17 [동영상] 일반림을 튜브레스(Tubeless)로 만들기
- 2012.10.10 올마운틴 라이딩을 위한 보호대
- 2012.10.04 프리라이딩을 위한 소소한 지름 2012/10/04
- 2012.09.26 폭스 바닐라 RC2 FIT 의 스프링선택 요령
- 2012.09.04 [본문스크랩] 스랩 그립쉬프트 XO, 새롭게 돌아왔다.
XX1에 대해서 막연히 시스템을 변경하려면 굉장히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겠고 아직은 Hammer schmidt에대해서 무게면에서만 불만이 있지 크게 불만족스러운게 없었던차에 아래의 블로그가 제 검색에 들어왔습니다.
아래의 블로그의 요지는 시스템을 모두 바꾸는것이 아닌 현재의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XX1의 새로운 세계를 경험해볼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더라도 상당히 간소화되고 라이딩에 새로운 맛을 느낄수 있다니 정보를 습득하시고 기회가 닿을때 실행에 옮겨보는것도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주소를 클릭해보세요.
블로그 주소 : http://blog.naver.com/exo_dream/90176346895
마구라 정품은 붉은색이랍니다.
정품을 선호하긴 하지만 어쩔수없이 사용량이 많은 앞브레이크는 정품을 사용하고 뒷브레이크는 비품으로 가자는 생각에 아톰레이싱의 신터드 세미 메탈 패드를 구매했습니다.
새로 장착후 제동력엔 별반차이가 없었는데 문제는 리턴스프링에 있었습니다. 정품과 비품의 차이는 리턴 장력의 차이가 있어 그동안 발생되지 않았던 패드의 칼가는 소리는 정품의 리턴 스프링으로 교체하고서야 해결되었습니다.
구스타프M 브레이크가 단종되어서 사용하시는 분이 없으시겠지만 혹시 저와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과 공유하고자 포스팅합니다.
2. TUG Riding Impact Short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1. 로얄레이싱 져지 상하의(\92,500)
사놓구 한번도 입지 않았습니다. 로얄제품이고요 상하의 세트입니다.
사이즈는 XL이구요 구입가는 18만원 판매는 10만원 약간네고가능합니다.
2. 스캇 다운힐 긴바지(\82,500)
2012 스캇 다운힐 긴바지입니다.
사이즈 실패로 판매합니다.
시착용 제품이며 택도 달려있습니다.
양쪽 골반에 스폰지패드 달려 있으며 탈부착식 입니다.
재질은 두꺼운천 재질이며 엉덩이랑 관절부분에는 신축성 있는 재질입니다.
내구성 좋을듯 합니다.
바지주머니가 있어 간단한 소품정도는 넣을수 있습니다.
또한 종아리 뒷쪽은 구멍이 송송있어서 라이딩시 긴바지 임에도 불구하고 시원하더군요. 물론 한 여름에는 힘들겠지만.
XL 사이즈
실측시 33~34" 인거 같습니다.
가격은 8만원 희망합니다. 택배시 착불
3. 알파인스타 다운힐팬츠(\70,000)
구매후 입구 나간적이 없네요.
사이즈 36인데 34정도 되네요.
작게 나와서 한치수 큰거 사꾸요
딱 좋아요
158,000원에 구매했구요. -> 7만원에 팔아요.
4. 100% 크래프트 고글
제가 구매한 Nicol양의 앞 서스펜션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바닐라샥이 라이더의 체중에 따라 스프링을 선택해서 장착할수 있음을 알게되었습니다.
해서 스페셜아이즈드 홈페이지에서 찾아보니 아직 홈페이지가 정비가 되지 않아서인지 올라와있지 않더군요.
직접전화를 해서 관련자료를 받아 정리해보았습니다.
폭스 바닐라 RC2 FIT설명 자료.
폭스 바닐라의 스프링이미지가 올라와 있지 않아 대신 폭스 40RC2의 이미지를 빌려왔는데 바닐라의 스프링은 아래이미지처럼 컬러로 만들어지지 않았고 페인트로 한줄그어놓은 정도로만 되어있습니다. 혹시보시는 분들은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제 몸무게는 75kg이어서 blue가 권장스프링이라고 합니다. 아래이미지는 Lbs로 표시되어 있어 보기어려워 kg으로 표시된 이미지도 첨부하였습니다.
ZEE브레이크 레버가 짧아 어쩔수 없이 트리거시프터로 옮겨왔지만 그립시프터의 편리함과 빠름에 다시 눈길이 가고 마네요. 실물을 보고 브레이크 레버와의 궁합을 맞춰보고 싶은데 여의치가 않네요.
=====================================================================================

하 지만 스램(SRAM)은 그립쉬프트의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조작성을 좋아하는 라이더들을 위해 완전히 변화시켜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그립쉬프트(GRIP SHIFT)를 출시하였다. XO와 XX 버전으로 먼저 출시된 그립쉬프트 중 XO 버전을 직접 만나보자.
![]() |
|
![]() |
*촬영 후 기사를 작성하다 보니 쉬프터 부분에 끼워지는 그립부분의 좌우가 바뀐 것을 알았다. 이미 제품은 반납한 상황이고, 기능의 문제는 없지만 이 기사를 참고로 조립할 경우, 위 사진의 그립 부분은 왼쪽 쉬프터 쪽에 위치해야 최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
내구성과 정확성을 높인 그립쉬프트
이 전 그립쉬프트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던 것은 그립쉬프트의 외벽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충격에 의해 쉽게 깨어졌던 것이었다. 이번 버전에서는 전체적인 부품이 쉽게 깨어지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졌고, 그 외부를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며 이 부분을 보완하였다.
또한 정확한 변속을 위해 인덱싱 부품을 모두 금속으로 제작하여 오랜 사용에도 정확한 인덱싱을 유지하도록 변화시켰다. 그리고 3줄의 120개 볼을 이용하여 더 쉽고 적은 힘으로도 변속이 가능하게 만든 것이 이번 그립쉬프트의 특징이다.
그리고 쉬프팅 그립과 손잡이용 그립이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락그립으로 고정되는 방식을 이용하였는데, 그립을 돌리는 힘에 의해 쉬프터가 돌아가는 현상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 |
|
![]() |
과거 인덱스 인디케이터는 없어졌지만, 외부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크게 늘어났다. |
![]() |
|
![]() |
|
![]() |
2중으로 방지하고 있다. |
2x10단과 3x10 라인업
왼쪽 그립은 2단 체인링과 3단 체인링에 호환되는 모델이 따로 판매된다. 구매 시에는 자신이 사용하는 체인링이 몇단인지 정확하게 알고 선택할 필요가 있다.
![]() |
|
직관적인 케이블 조립
트리거형의 쉬프터는 처음 볼 때 어떻게 케이블을 넣어야 하는지 당황스러울 때가 있다. 하지만 이번의 그립쉬프트는 락링을 빼고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열기만 하면 직관적으로 케이블의 설치 경로가 눈에 보인다.
그럼 한번 자전거에 그립쉬프트를 조립해보자.
![]() |
|
![]() |
|
![]() |
|
![]() |
|
![]() |
먼저 그립이 있는 바깥쪽(왼쪽)의 락을 먼저 고정하는 것이 좋다. |
![]() |
중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
어드저스트 배럴을 이용해 미세조절로 정확한 변속을 맞출 수 있다. |
![]() |
|
![]() |
|
![]() |
사용성이 더욱 좋아진 그립쉬프트
시 간적인 문제와 제품 사용에 대한 한계로 인해 완벽한 변속 테스트를 하기에는 어려웠다. 특히 그립쉬프트의 특성상 장기간 사용에서 발생하는 정확성도 알고 싶기는 하지만 그 테스트는 길게는 1년이 훌쩍 넘게 걸리는 문제라 여기서 거론하기에는 좀 이른감이 있다.
하 지만, 내부에서 테스트를 하며 느낀 점은 확실히 정확해지고 사용성이 좋아진 변속감이라고 볼 수 있다. 정확한 인덱싱 느낌으로 1단계 변속의 어려움도 크게 없었고, 그립쉬프트의 다단계 변속성은 이전보다 훨씬 부드럽고 빨라진 느낌이다. 특히 1단에서 10단까지 한번에 변속할 수 있는 것은 최고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 |
|
그 립쉬프트는 과거부터 지금까지 항상 호불호가 존재했다. 브레이크와 동시에 작동하기 어렵고 그립 부분이 좁아진 것을 싫어하는 라이더도 있고, 그 반면에 직관적이며 빠른 변속성이 다양하게 변화하는 지형을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징에 반해서 좋아하는 라이더도 있다.
어쨌든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듯 라이더의 마음을 동하게 하는 그립쉬프트는 확실히 매력있는 변속기임에 틀림없다.
관련 웹사이트
HK 코퍼레이션(www.hksram.com)
SRAM (www.sram.com)